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RUD
- github
- NAS
- Project
- flask
- beautifulsoup
- flaskframework
- javascript
- venv
- PYTHON
- requests
- body
- OOP
- frontend
- mongodb
- POST
- json
- mysql
- backend
- java
- openapi
- portfolio
- Algorithm
- fetch
- CSS
- Crawling
- atlas
- synology
- get
- pymongo
- Today
- Total
목록Philosophy/Who I am (23)
wisePocket

점점 체력이 좋아지는게 느껴진다. 7시에 자동으로 일어나진다. 처음엔 알람도 안들렸다. 인터벌 강도를 조금 올려도 될 체력인것이 느껴진다. 식단은 완전히 적응되었다. 아침이 너무상쾌하다. 아침 7시에 운동하러 나오면 나랑 같이 들어가는 사람들이 있다. 몇일째 같은 시간에 뛰는 사람이 있다. 이 사람 진짜 부지런하구나 느낀다. 나랑 루틴이 비슷하다. 질수없지. 5분만에 잠든다. 내 스스로 주도적으로 바쁜 일정 속에서도 운동하는 습관의 행복을 찾았다. 이번 주말엔 치팅은 스시~
건축전공이다보니 오래됬어도 기본적으로 전공자의 지식이 남아있긴하다. 토스와 건축과 관련된 것은 "부동산" 부분밖에 없는 것을 발견했다. 현재 가장 유명한 부동산관련 앱은 "다방"정도가 있다. 가장 많은 트래픽이 발생 할 것이고 이것의 기능도 토스가 구현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 지도상에서 공인중개사가 입력한 것에 대해서 나타나고 선택하면 매물 정보를 보여주고, 연락하기, 전화하기 기능을 구현해서 소비자와 공인중개사와 연결을 유도한다. BM은 정확히 보지 않았지만 아마 공인중개사가 등록 할 때 수수료를 내는 방식일 수도 있다. 그것을 배민처럼 중개사와 서비스 이용자가 반반씩 나누는 상황일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토스에서도 전세,월세,매매 등 정보를 찾는 기능을 넣으면 어떨까 막연한 생각을 하긴했다. 두번..
개발자 교육들을 듣고, 또 교육을 듣는 과정에 생각했다 내가 대기업에 도전 할 수 있을까? 토스같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빅 유니콘 기업에 들어갈 수 있을까? 왜 이런 두려움이 있는지 고민해봤는데, 결국 저런 환경에서 일해본 경험이 없어서 막연한 두려움이었다. 그래서 어떻게 일하는지 궁금했다. 아래 2020 인터뷰를 보면서 토스 안의 내가 함께 일할 사람들 선배 개발자들의 생각과 가치관들, 왜 본인들은 그곳에서 계속해서 일 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았다. 토스의 가치관과 내 가치관이 일치한다는것에 가고싶은 생각이 더 커졌다. 내가 생각한것과 너무 같아서 솔직히 놀랐다. 점점 궁금증이 생겼다. 실제로 어떻게 팀이 구성될까, 출근하면 뭘할까? 누가 알려줄까? 토스 피드를 보면서 개발자라는 검색을 해봤다. 개발팀..
토스 개발자 인터뷰 - 3년차 이하 개발자는 토스팀에서 어떻게 일할까? 토스팀에는 주니어도 시니어도 없습니다. 오로지 ‘동료’만 있을 뿐이죠. 그렇다면 연차가 상대적으로 낮은 팀원은 일하기 힘들지 않을까,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준비했어요. 3년차 이하 토스 blog.toss.im 토스 이지영님의 토스 내 개발자 인터뷰 글을 보았다. 이것으로 그들이 어떻게 일하는지 간접적으로 들여다 볼 수 있었다. 그리고 나는 어떤 마인드를 가져야 하는지, 내 가치관과 토스의 방향성과 얼마나 일치하는지. 특히 기억에 남는다. 성원님은 개발자는 만드는 것을 하는 사람, 대규모 트래픽에서 경험이 필요하다. TDS(Toss Design System)은 어떤 것일까 궁금하다. 업무관리를 지라라는 툴로하는데 개발자가 들어갈 필요가..

Chapter 1. 내 컴퓨터 역사 CLI? 펜티엄? 모뎀? 내 인생에서 컴퓨터를 마주한건 어릴 때 펜티엄 시절, 컴퓨터라는 것이 동네에 몇 대 없을 정도로 보급되지 않은 때부터였다. 우리 집은 다행히도 형의 노력 끝에 컴퓨터를 가진 집이 되면서 시작되었다. 세진 컴퓨터 상가를 버스 타고 가서 컴퓨터를 사고 구르마에 싣고 끌고 온다. 뒤통수가 큰 모니터 화면은 검은 터미널만 있었고, 도스에서 cd oo, dir, cd .. 를 입력하면서 그때 당시는 그게 뭔지는 모르지만 경로를 이동하는 것이 초등학생 눈높이에서는 하나의 놀이였다. 학교에서 돌아오면 그냥 아무 의미 없이 몇 시간 동안 이걸 한다. 어느새 포맷이라는 걸 배워서 계속해서 컴퓨터를 포맷해 버리는 것이 놀이가 되었다. 1~2년 지나자 천리안, 하..

주말이라 좀 쉬면서 웹서핑을 하는데 내 블로그를 보니 흔한 테마로 사용했더니 너무 심심해보였다. 뭔가 추가 해볼만한 것이 없을까 생각되서 메뉴 헤더 부분에 이미지, Github 이미지와 링크를 연결하는데, 나의 티스토리 테마는 반응형으로 구현되어 있었다. 매번 백엔드에만 관심이 있었지만 프론트엔드의 반응형 웹이 변화하는 것이 항상 궁금하긴 했었다. 내가 원하는건 Most Used Languages 위젯의 크기가 커서, 반응형으로 브라우저 크기를 조절하면 메뉴가 삐져나오거나 한쪽으로 치우치고해서 꼴보기 싫었다. 아무리 티스토리 테마로 만들었다해도 HTML, CSS 수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한번 수리할겸 프론트엔드는 어떤 코드를 쓰는지 살펴보았다. 우선 내가 아는 프론트엔드? 라고하기에도 기초적인 CSS 지식..

붓기가 빠졌다 자습때문에 하루이틀 저녁운동 못함 살짝 체력이 올라서 유산소 인터벌 시작 아침 4분 경보 1분 전력질주 6세트 30분으로 변경 저녁 3분 경보 2분 전력질주 6세트 30분으로 변경 식단 그대로 하루견과 3시에 챙겨먹기 저녁 커피자제하기 수면방해!
http://lucky-dev.tistory.com/23 Nginx 그리고 Gunicorn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IT용어에 대한 개념을 배울 땐 역시나 등장배경을 알면 좋은 것 같다. Nginx에 대해서는 이미 글을 올려두었으니 보고 오는 것을 추천한다. Nginx 란? Nginx 란? 높은 성능과 확장 lucky-dev.tistory.com http://jain5379.tistory.com/18 AWS 배포(1) - Django, Nginx, Gunicorn 기본정리 나보다 잘 정리한 사람도 많고...그냥 이해한대로 최대한 정리해봤다. # 배포 아키텍처 WSGI(Web Server Gateway Interface) : Application Server를 호출하여 동적인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서버 pyt..
공식 정보 맞음 하지만 어려움 입문자에게 이것보다 어려운게 없다. 그리고 링크가 무한대로 연결되있는것으로 느껴질 정도로 모르는게 계속 튀어나오고 단어를 몰라서 누르면 또 더 큰 개념으로 연결되있고 또 무수히 많은 정보가 쏟아지고 또 들어가고 들어가고 공식은 무조건 맞는 정보지만 가시성이 떨어진다. 입문자에게 불친절하다랄까? 사실 나름대로 친절하게 써둔 것이지만 뉴비에겐 불친절하다! 그래도 Quick Start! 이런 부분이 나와 같은 사람들을 위해서 마련한 선배들의 배려라고 생각한다. 블로그 10개중 1개 완전 잘못 이해한 부분이라던지, 배울때 그냥 교재를 복사한것도 있다. 나도 마찬가지로 잘못된 정보를 기록하고 퍼트리고 있는 범인 중 하나다. 걸러봐야 한다. 하지만 이 부분이 필요한 이유는 입문자에겐 ..

인생사 제일 잘하는 것, 자신 있는 것 내 주변에서도 모두 인정하는 나의 다이어트 근성..이었는데, 이젠 그런 나를 찾아보기 힘들다. "취업 준비하는데 시간이 남아돌아?", "공부하기도 바쁜데 운동할 시간은 있나 보네." 아니, 나도 똑같은 시간을 쓰고 똑같이 생활한다. 그럼 시간을 어디서 구하는가? 학교에서도, 군대에서도, 집에서도, 회사에서도 아무도 못 건드리는 시간. 나는 밥시간을 쪼개 쓴다. 남들은 밥 먹고 앉아서 유튜브보고 넷플릭스 볼 시간에, 나는 운동하면서 유튜브 보고 넷플릭스 본다. 이 시간에도 강의를 찾아보거나 신나는 노래도 듣고 검색도한다. 말했지만 일반인, 직장인, 학생 모두 같은 24시간을 보낸다. 누구는 공부 잘하고 일 잘하고, 누구는 공부 못하고 일 못한다. 시간을 다르게 사용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