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get
- Crawling
- flask
- json
- github
- CRUD
- body
- javascript
- Project
- Algorithm
- backend
- portfolio
- atlas
- synology
- beautifulsoup
- pymongo
- NAS
- frontend
- PYTHON
- flaskframework
- mysql
- CSS
- requests
- mongodb
- java
- openapi
- POST
- OOP
- venv
- fetch
- Today
- Total
목록(old)Java Backend study (9)
wisePocket

MongoDB는 BSON으로 데이터가 쌓이기 때문에 Array 데이터나 Nested한 데이터를 쉽게 넣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우선 Oracle을 주로 사용했기 때문에 햇갈리는 부분이 많다. MongoDB의 DB계층구조 부터 Oracle과 비교해서 개념을 정리했다. SQL문은 대체로 유사한데 비교하여 주석하면서 테스트했다. db = 데이터베이스는 컬렉션의 물리적 컨테이너.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에는 보통 여러개의 컬렉션을 가질 수 있다. user = collection이다. Document 의 그룹이며 RDBMS Oracle의 예를 들면 Table 과 같은 개념 +- collection 내에 Document 는 하나의 키(key) 와 값(value)의 집합이다. Oracle MongoDB Database ..

CLI로 간단한 프로그램을 만들어봤었다. PT양식은 [웹/앱 설계의 기본] 화면설계서 기획 양식의 구성을 최대한 맞추려고 노력했고 처음 하는 것이라 배운 내용들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내가 가장 생각하기 쉬운 객체인 건축물과 관련 된 것으로 생각해보았다. CLI로 프로그램을 만들어보니 리모컨이나 각종 장비에 들어가는것들도 프로그래밍 된 것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그리고 어떤 로직을 가지고 있는지 관심있게 보기 시작했다. 오히려 발표자료를 만드는데 시간이 오래걸렸다. 아직 이런 양식들을 사용하는지 모르겠는데 일단 우선 친숙한 앱기획 양식을 사용했다. CLI라 화면 설계서를 별도로 구성 하기 어려웠지만 메뉴가 변경 되는 것을 화면이 전환된다고 생각하고 메뉴에 대한 실행 과정들(비지니스 로직)을 마치 설명서처럼 ..

JAVA를 접하면서 처음 진행한 팀 프로젝트이다. 팀원 모두 비전공자이며 프로그래밍을 처음 접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시작 단계인 기획과 환경구축에서도 쉽지않은 도전이었다. 초보 개발자라는 부분은 생각보다 정확히 문제점을 이해한 검색과 적절한 예시를 찾는 것으로 여러 부분 해결 된다. 이미 선배와 전문가들이 인터넷에 아주 많은 자료를 올려두었기 때문에 우리는 그것을 잘 판별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팀원간의 개발 이해도 차이, 참여도 차이 등 외부적인 요인도 무시 할 수 없다. 내가 아는것과 연구하여 이해한것 경험한것을 공유하고자 최선을 다했다. 또한 팀원이 공유하는것, 어려움을 겪는 부분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함께하는 것에 집중했다. 사람이 하는일이다 보니 일부 팀원의 개인 사정에 따라 이탈을 결정하는 불상사가..
nginx 시작 : brew services start nginx nginx 재시작 : brew services restart nginx nginx 중단 : brew services stop nginx 윈도우에서는 압축만 풀면 nginx가 해당 폴더로 설치된다. 해당 폴더에 모든 파일이 있어서 config파일이나 경로찾기는 참고할 필요가 없다. config파일을 열어서 port설정, root설정은 맥과 차이나지 않는다. 포트 80으로바꾸기, root폴더 변경하기 등은 참고. cmd로도 비슷하다. nginx mac 1. 설치 확인 brew services 2. 설치 brew install nginx 3. 서버 설치 테스트(첫가동) brew services start nginx ==> Successfully..
프로젝트 생성 1. Spring Legacy Project > Spring MVC Project 선택하여 생성 2. 프로젝트 버전 설정 프로젝트 선택 + 우클릭 properties +java compiler -> Build Path -> 11로 +Project Facets -> Java version 11로 3. 프로젝트/pom.xml 아래와 같이 변경. 1.6 3.1.1.RELEASE 1.6.10 1.6.6 부분 찾아서 아래처럼 수정 >>>>>>>>>> 11 아래 classpath:config/spring/*-context.xml 10. resources/config/mybatis/mapper/MemoMapper.xml 생성, Doctype선언문 복붙해야함.
Finder로 경로 복사해놓기 /Users/inyongkim/Documents/apache-tomcat-9.0.68/bin 환경변수 zsh터미널인경우 ///환경변수 편집기 열기 vi ~/.zshrc; i INSERT모드활성화 /// 패스 추가 # TOMCAT PATH export PATH="$PATH:/Users/inyongkim/Documents/apache-tomcat-9.0.68/bin" /// 홈 추가 # TOMCAT HOME export CATALINA_HOME=/Users/inyongkim/Documents/apache-tomcat-9.0.68 ESC :wq저장하고 편집기 나가기 ///변수 편집 내용 적용 source ~/.zshrc TOMCAT 서버실행 sudo startup.sh TOMCA..
[Mac] SDKMAN을 이용해서 openJDK설치 SDKMAN 설치 - https://sdkman.io/install$ curl -s “https://get.sdkman.io” | bash $ source “$HOME/.sdkman/bin/sdkman-init.sh” SDKMAN 명령어 $ sdk version
intel chip 맥os Oracle, SQL 설치 전반 https://devotto.github.io/articles/2019-03/macosx-docker-oracle https://velog.io/@chaos663/Database-Oracle-SQL-Developer-install-for-mac 전반적인 순서 도커mac os 설치 -> 도커 계정 로그인 -> Oracle xe 11g 이미지 검색 -> 이미지 풀 -> 이미지의 --name ohnyong 이름 변경, 포트 변경 -> 이미지를 도커 컨테이너로 활성화=가상 서버 가동(run) -> SQL Developer 설치 -> 도커에서 실행중인 Oracle과 연결(포트 일치시켜야 함) **에러코드 Error response from daemon: ..
복습을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