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mysql
- Algorithm
- atlas
- PYTHON
- venv
- get
- java
- Project
- OOP
- github
- backend
- CRUD
- json
- javascript
- fetch
- Crawling
- body
- synology
- frontend
- pymongo
- portfolio
- beautifulsoup
- POST
- mongodb
- requests
- openapi
- flask
- NAS
- CSS
- flaskframework
- Today
- Total
목록Database/MySQL - RDBMS (10)
wisePocket

MySQL 유용한 함수 및 문법 조건을 설정 할 때 name = 'Lucy'와 같이 단일 조건인 경우엔 = 연산자로 표기하지만 조건이 다수 나타날 땐 name in('Lucy', ...) 처럼 여러개를 나열하는 것이 보기 좋았다. 이 외에 여러가지 방법들이 있어서 하나씩 살펴보았다. 1. 그룹 함수(MySQL Numeric Functions) COUNT(), MAX(), MIN(), AVG(), SUM(), VRIANCE(), STDDEV() 통계치와 관련된 함수들이다. 갯수, 횟수, 최소값, 최대, 합계, 분산, 표준편차 등을 컬럼을 지정하여 구할 수 있다. 반드시 1개의 값을 반환한다. NULL값이 무시된다. GROUP BY 절과 함께 사용되어야만 한다. 함수명 기능 사용 COUNT 행의 수를 계산한..

MySQL 조건문 조건을 설정 할 때 name = 'Lucy'와 같이 단일 조건인 경우엔 = 연산자로 표기하지만 조건이 다수 나타날 땐 name in('Lucy', ...) 처럼 여러개를 나열하는 것이 보기 좋았다. 이 외에 여러가지 방법들이 있어서 하나씩 살펴보았다. 1. IN( ..., ...) 조건이 여러개 일 때 사용하기 좋았다. select animal_id, name, SEX_UPON_INTAKE from ANIMAL_INS where name in('Lucy' , 'Ella','Pickle','Rogan','Sabrina','Mitty') 2. AND / OR / NOT 말그대로 논리 연산이다. and는 양 옆 둘다 맞아야하며 SELECT * FROM product WHERE 카테고리 = '..

DATE_FORMAT 테이블에서 Type이 Date인 것들이 나타난다. 틀린 부분이 없다고 생각했는데, 자세히보니 출력되는 날짜의 형식이 달랐다. DATE_FORMAT을 이용하여 Date타입의 값들을 내가 원하는 포맷으로 출력 할 수 있다. 1. DATE_FORMAT(날짜 , 형식) DATE_FORMAT(날짜 , 형식) : 날짜를 지정한 형식으로 출력 할 수 있다. 날짜 부분은 날짜 형식을 담고 있는 컬럼명이 들어가면 되며 형식은 다양하게 존재하는데 다음 처럼 정리한다. 구분기호 역할 구분기호 역할 %Y 4자리 년도 %m 숫자 월 ( 두자리 ) %y 2자리 년도 %c 숫자 월(한자리는 한자리) %M 긴 월(영문) %d 일자 (두자리) %b 짧은 월(영문) %e 일자(한자리는 한자리) %W 긴 요일 이름(..

MySQL 조건문 프로그래머스 문제 풀이 중 조건문을 사용해야 해서 정리하고자 한다. 1. IF IF(조건문, 참일 때의 값, 거짓일 때의 값) 기본 사용 방식은 엑셀의 =IF() 와 같다. SELECT IF(2 > 1, 'TRUE', 'FALSE') AS result 아래와 같이 특정 컬럼 값의 조건에 의해서, 다른 컬럼의 출력하는 분기 처리도 가능하다. 엑셀 처럼 중첩 IF 의 사용도 가능하다. SELECT IF(column_name is null, column_1, columnj_2) AS result 문제 안에서 "이때 냉동시설 여부가 NULL인 경우, 'N'으로 출력시켜 주시고" 이 부분을 이렇게 표현 할 수 있다. -- 코드를 입력하세요 select * from food_warehouse; ..
Subquery란?? 간단하게 서브 쿼리란 하나의 SQL 문 내에 있는 또 다른 SQL문을 말한다. 서브쿼리는 위치에 따라 명칭이 다르다. FROM절에 사용하는 인라인 뷰(Inline view), SELECT문에 사용하는 스칼라 서브쿼리(Scala Subquery), 일반적으로 WHERE절에 사용하는 것을 서브쿼리(Subquery)라고 한다. 하지만 SQL문내 또다른 SQL문을 배치하는 경우 통일하여 서브쿼리라고 부르는 것 같다. 1. select 기존 테이블에 함께 보고싶은 데이터를 붙이는 것에 사용 select 필드명, 필드명, (subquery) from .. 상당히 햇갈렸다. 차분하게 필요한 데이터가 어느 테이블에 있는지 체크하고, 어떤 데이터가 필요한지, 어떤 쿼리문으로 추출 할 수 있는지 체크..

Join이란? 테이블은 각 테이블마다 그 목적, 특성에 맞게끔 데이터(컬럼) 정보를 가지고 있다. user라는 테이블은 사용자 정보 관련된 컬럼과 필드들로 구성되어 있고, checkin은 출결, 강의 후기, 좋아요 갯수 등 출결과 관련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이 둘은 별개의 데이터들을 가지고 있지만 user_id라는 교집합 부분이 있다. 이 부분을 통해서 해당 유저 의 출결 등 상황을 확인하고자 할 것이다. 이처럼 테이블마다 이런 연결 고리를 만들게 되는데, 추후 배우게 될 Primary Key, Foreign Key와도 연관이 있다. 일반적인 경우 행들은 PRIMARY KEY(PK)나 FOREIGN KEY(FK) 값의 연관에 의해 JOIN이 성립된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이러한 PK, FK의 관계가 ..
group by, order by, min, max, sum, count 다양한 실습을 통해서 group by, order by와 함께 min, max, sum의 기능, 또한 이전에 실습한 count를 활용해서 원하는 데이터들을 필터링 하는 것을 연습했다. group by는 특히 "~~별로 구분하세요."와 같이 어떤 기준점을 삼으라는 것에 집중해야 했다. 특히 문제들을 풀면서 국어가 더 어렵구나라는 것을 느꼈다. 이것도 코딩테스트와 같이 뭔가 요령과 나만의 틀을 구성해서 문제를 빠르게 파악하면 적응 될 것 같았다. order by는 어떤 컬럼 또는 데이터를 정렬 할 지 기준을 잘 적어야 한다. 1. 연습 #column의 갯수 얻기 select * from orders; select COUNT(*) fro..
count는 데이터의 갯수를 세어주는 문법이다. users 테이블의 name 컬럼 필드들의 갯수를 세는 문구이다.select count(name) from users;갯수는 데이터 관리자나, 테스트과정에서 확인 할 때 유용하다. 두번째 핵심은 필터로 보여줄때, 연관된 연산 이 필요할 경우 count를 통해 수많은 데이터 중 갯수만을 연산용 변수로 추출 할 수 있는 점이다.
select from like '%?%'; 부분적인 텍스트로 포함한 정보를 모두 찾는 쿼리문 select name from users like '%홍'; 마치 CLI에서 반쯤 기억나는 파일명을 찾을 때 키워드를 *.exe , driver.* 처럼 입력하는 것과 같다. 또한 _의 경우 파일명을 찾을 때 키워드인 '???ver.???'과 같다. 대신 정확한 자리수를 알 수있거나 기억하는 경우만 해당된다. 위 예시는 ver.라는 문자열을 포함한 양 옆 3자리 문자가 있는 데이터를 찾고 있다. 언더바를 사용하면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찾을 수 있다. select from like '___?'; %와 _의 차이는 자리수를 아는가, 모르는가의 차이. %는 자리수와 관계 없이 특정 문자?가 들어가는 (위치는 관계있다..

RDBMS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중 하나인 MySQL을 시작해보고자 한다. 사실 Oracle을 통해서 SQL을 배워왔기 때문에 상당히 익숙하게 느껴졌다. 특히 이럴 때 조심해야 한다. 오히려 좀 더 꼼꼼히 보고 특히 몰랐던 것, 햇갈렸던 것이 나오면 무조건 메모해야 한다. 이번 과정에서 이전 Oracle로 구성했던 것을 잠시 팀원들과 살펴봤는데 Join, PK, FK에 대해서 설명 해주기 어려웠다. 내 지식이 정리되지 않았기 때문인 것 같다. 이전 과정에서는 DB 서버 구축부터 계정 생성, 권한 부여, 테이블 생성, 컬럼 타입 및 조건 설정, 데이터 삽입 을 진행했었지만, 이번 과정에서는 가장 중요하고 초보자로써 필요한 READ에 집중되어 있다. 나는 자습을 통해서 서버 구축 및 접속, 계정 생성 등도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