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mongodb
- CSS
- backend
- frontend
- Algorithm
- atlas
- openapi
- beautifulsoup
- java
- fetch
- OOP
- body
- PYTHON
- portfolio
- flaskframework
- json
- venv
- Project
- javascript
- get
- github
- POST
- mysql
- CRUD
- synology
- flask
- pymongo
- requests
- NAS
- Crawling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05)
wisePocket

음식과 음료 주문, 계산서를 출력하는 계산기 정해진 나의 룰에 따라서 연습 문제를 계속해서 답안을 보지 않고 스스로 풀어보고자 한다. 핵심이 되었던 연습 과정은 아래 두개 과정이다. 물론 이 구조가 이제 Java를 배우면서 더 깊게 변경 될 예정이다. 하지만 해당 카테고리 페이지는 알고리즘 문제 해결을 하기 위한 연습이 주 목적이라서 기본적으로 내가 객체 인스턴스화를 통해 메서드 호출을 구분하면서 "연산"에 집중 할 수 있는 나만의 틀로 활용하고자 한다. https://ohnyong.tistory.com/177 [Algorithm★] 4칙연산을 해주는 계산기 - 객체 지향 - 혼자 만들기+ChatGPT의 피드백 받기 https://ohnyong.tistory.com/178 [Algorithm★] 4칙연산..

입력한 값을 최대 값으로하여 0부터 값까지의 짝수들의 합을 구하는 계산기 정해진 나의 룰에 따라서 연습 문제를 계속해서 답안을 보지 않고 스스로 풀어보고자 한다. 핵심이 되었던 연습 과정은 아래 두개 과정이다. 물론 이 구조가 이제 Java를 배우면서 더 깊게 변경 될 예정이다. 하지만 해당 카테고리 페이지는 알고리즘 문제 해결을 하기 위한 연습이 주 목적이라서 기본적으로 내가 객체 인스턴스화를 통해 메서드 호출을 구분하면서 "연산"에 집중 할 수 있는 나만의 틀로 활용하고자 한다. https://ohnyong.tistory.com/177 [Algorithm★] 4칙연산을 해주는 계산기 - 객체 지향 - 혼자 만들기+ChatGPT의 피드백 받기 https://ohnyong.tistory.com/178 [..

입력한 각도의 종류를 설명해주는 계산기 정해진 나의 룰에 따라서 연습 문제를 계속해서 답안을 보지 않고 스스로 풀어보고자 한다. 핵심이 되었던 연습 과정은 아래 두개 과정이다. 물론 이 구조가 이제 Java를 배우면서 더 깊게 변경 될 예정이다. 하지만 해당 카테고리 페이지는 알고리즘 문제 해결을 하기 위한 연습이 주 목적이라서 기본적으로 내가 객체 인스턴스화를 통해 메서드 호출을 구분하면서 "연산"에 집중 할 수 있는 나만의 틀로 활용하고자 한다. https://ohnyong.tistory.com/177 [Algorithm★] 4칙연산을 해주는 계산기 - 객체 지향 - 혼자 만들기+ChatGPT의 피드백 받기 https://ohnyong.tistory.com/178 [Algorithm★] 4칙연산을 해..

두 개의 정수를 입력 받고 두 수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계산기 정해진 나의 룰에 따라서 연습 문제를 계속해서 답안을 보지 않고 스스로 풀어보고자 한다. 핵심이 되었던 연습 과정은 아래 두개 과정이다. 물론 이 구조가 이제 Java를 배우면서 더 깊게 변경 될 예정이다. 하지만 해당 카테고리 페이지는 알고리즘 문제 해결을 하기 위한 연습이 주 목적이라서 기본적으로 내가 객체 인스턴스화를 통해 메서드 호출을 구분하면서 "연산"에 집중 할 수 있는 나만의 틀로 활용하고자 한다. https://ohnyong.tistory.com/177 [Algorithm★] 4칙연산을 해주는 계산기 - 객체 지향 - 혼자 만들기+ChatGPT의 피드백 받기 https://ohnyong.tistory.com/178 [Al..

계산기의 기본 틀을 익힌 이후로 나만의 정해진 규칙이 생겼다. 핵심이 되었던 연습 과정은 아래 두개 과정이다. 물론 이 구조가 이제 Java를 배우면서 더 깊게 변경 될 예정이다. 하지만 해당 카테고리 페이지는 알고리즘 문제 해결을 하기 위한 연습이 주 목적이라서 기본적으로 내가 객체 인스턴스화를 통해 메서드 호출을 구분하면서 "연산"에 집중 할 수 있는 나만의 틀로 활용하고자 한다. https://ohnyong.tistory.com/177 [Algorithm★] 4칙연산을 해주는 계산기 - 객체 지향 - 혼자 만들기+ChatGPT의 피드백 받기 https://ohnyong.tistory.com/178 [Algorithm★] 4칙연산을 해주는 계산기 - 객체 지향 - 혼자 만들기+ChatGPT의 피드백 ..

몇시간 전 ChatGPT로부터 지역, 전역 변수를 활용한 반복문 탈출을 배웠다. 이를 통해서 완벽하게 내가 원하던 구성들을 갖춘 계산기를 구현 할 수 있었다. 이전에 CLI 프로젝트를 만들었을 때도 3중 메뉴형태였는데 지역변수, 전역변수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했었나보다. 응용으로 지역에서 전역 변수로 특정값을 보내고, 파라미터를 활용한 메서드 이용도 이번 연습하면서 많은것을 얻어서 뿌듯했다. 완성된 계산기는 다음과 같다. 1. Main.java 아무것도 없다. 이것이 내가 바라던 형태로 객체 생성, 호출 이외에 드러나는 것이 하나도 없도록 구현해 볼 수 있었다. package Algorithm;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알고리즘 기본 문제를 객체 지향적 프로그래밍을 적용해서 계산기 형태로 만들고 풀어보려했다. 처음엔 두 수의 합을 구현하는 것을 완료했지만 뭔가 부족한 느낌이 들었고, 뭔가 프로그램처럼 만들어보고 싶었다. 분명히 예제 코드들은 인터넷에 널려있겠지만, 아무 샘플 코드도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혼자 처음부터 모든것을 타이핑해보려 했다. 이를 통해서 기본적인 간단한 프로그램이더라도 객체 지향적으로 설계하고 만들어보는 연습을 하고 싶었다. 따라서 내가 설정한 제약 조건은 Main.java에서는 최대한 노출되는 코드가 없이 Class(설계도)에 정의된 객체를 생성하여 인스턴스화 시키고 객체로부터 기능을 연결하는 코드들만 보이도록 하고 싶었다. 객체를 설계, 정의하는 Class는 Solution()이며 기본 생성자(..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포트폴리오를 1차적으로 현재 기준으로 모두 작성했다. 말이 많은 편이라. 카테고리화, 정리하고도 보기 좋은 폼으로 나타내주는 Notion을 사용해봤다. 보는 페이지는 많이 봤지만 Notion으로 실제로 내 페이지를 이정도로 열심히 디자인 한 것은 처음이다. Notion 결제하고 무자비하게 내 인생을 담았다. 이 포폴에서 결국 이제 프로젝트와 경력, 활동을 늘려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느꼈다. 생각보다 한 것은 많은데 적고나니 별것 없었다. 프로젝트들을 잘 관리하고 열심히 참여해야겠다. 그래도 프로젝트들을 미리 정리해두면 편하게 포폴을 작성 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한번 더 나에 대해서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서 자기소개서 자체도 쭉 써내려가는 것에서 내 기술에 대해 부족함을 느끼고 채..
https://youtu.be/6h9qmKWK6Io https://youtu.be/q_QEh3fz0zw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포폴을 작성하는데 문득 스프링은 무엇인가? 내 프로젝트는 어떻게 구성되었는가? 에 대해 설명할 자신이 없었다. 스프링에 대해서 알기는 하는걸까? 사용자가 이용하는 비지니스 로직에 대한 설명, 기능 구현부분의 방식은 복습하면서 끌어올릴 수 있지만, 이건 기능에 대한 구현부분 설명이다. 구조적으로 왜 가장 기초가 되고 왜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했는지에 대한 이론이 부족했다. 교육과정에서 분명히 선생님이 설명해주었지만 이해가 되지 않았던 것 같다. 강사의 잘못이 아니다. 그 때 내가 질문했더라면, 좀 더 이해하려 노력했으면 지금과 다를 수도 있다. 당시 어려운건 그냥 처음이라 원래 이해..
27에서 Class 선언 -> 필드 선언 -> Constuctor 선언 -> Method 선언 까지 기본 골격을 갖췄다. 이제 기본 골격을 실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선언된 변수 초기화(값 할당) 내부 접근 외부 접근 Method 이용 이 단계 까지 필요하다. 이 단계까지 하면 기본적으로 간단한 입력을 받는 CLI 계산기 정도는 만들 수 있다. 이 골격을 활용해서 Algorithm 문제를 풀려고 여기까지 일단 진도를 밟았다. 알고리즘 문제를 풀려고 첫 장을 열었을 때 "2개의 값을 입력 받아 합을 구하는 함수를 구현하세요." 가 나왔는데, 갑자기 예전에 배운것, 파이썬, 자바스크립트, 모든 구현 방법과 객체, 메서드? 너무 많은 정보가 급하게 배운 만큼 꼬이고 꼬여서 머릿속에 정리가 안됬었다. 당장 "in..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OOP), Java의 필살기 객체지향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OOP)은 소프트웨어 개발 패러다임 중 하나, 객체지향프로그래밍 절차지향프로그래밍 처리방식 문제를 여러개의 객체로 나누어 처리 문제를 여러개의 함수로 나누어 처리 장점 - 코드 재사용이 용이하다 - 유지보수가 쉽다 - 대형 프로젝트에 적합하다 - 처리속도가 빠르다 - 실행 속도가 빠르다 단점 - 처리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다 - 객체가 많으면 용량이 커진다 - 설계 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 유지보수가 어렵다 - 대규모 프로젝트에 부적합하다 예 JAVA, Python, C# C언어 프로그램을 여러 개의 객체(Object)들로 구..

주말이기도 한데, 아침부터 바로 공부만 하면 너무 감옥 같아서 머리도 식히고 리프레쉬 겸 잠시 주변을 둘러보았다. 몇 개월 전에 Youtube에서 개발자, 아나운서, 크리에이터 같이 각자 직업마다 자기 책상을 소개하거나 동료 책상을 방문하는 What's on my desk, 직원들 책상 털기라는 콘텐츠가 잠시 유행했다. 나도 이것저것 영상을 보게 되었고 난 그들이 회사에서 어떤 환경에서 일하는지 궁금하기도 했는데, 나름 재미있어서 여러 직업들을 보게 되었다. 그래서 나는 학생의 입장으로 개발 공부하는 사람인 나는 뭐가 있나 한번 살펴봤다. 가끔은 바빠서 집 정리는 일주일에 한번도 어려울 때가 있다. 아무리 집이 너저분해져도 사무공간은 항상 깨끗이 유지하려고 노력한다. 일 할 때나, 공부할 때나 내가 가장..
알고리즘 문제 풀이 전에, 알고리즘이 무엇인지 부터 공부를 하기로 했다. 오늘은 코드보단 이것들이 뭔지에 대해서 개념을 공부했다. 이전에 수업을 듣긴 했지만, 어렵게 느껴져서 머리가 듣는 것을 거부한것 같다. 그래도 정리를 하고 나니 어느 정도 이해가 된다. 하지만 피보나치 수열 부분은 아직도 햇갈린다. ChatGPT를 이용해서 도움을 얻어봤다. 쉽게 알려줘 하니까 생각보다 좀 쉽게 알려준다. 이해가 안되는 부분을 좀 이용해도 좋을 것 같다. 너무 의존하면 공부가 방해 될 것 같아서 키워드를 얻는 과정이나 아주 어렵게 느껴지는 부분에 대해서 단축시켜 주는 용도로 사용할 것 같다. 아니면 코드 리뷰를 부탁해도 될지도? 알고리즘(Algorithm) 알고리즘(영어: algorithm), 셈법은 수학과 컴퓨터과..
처음 보는 용어이다. 뭐하는 것이지?? DB인가? Framework인가? Apache니까 웹서버인가? 여러가지 검색을 했다. 우선 공식 홈페이지부터 Apache Kafka는 고성능 데이터 파이프라인, 스트리밍 분석, 데이터 통합 및 미션 크리티컬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수천 개의 회사에서 사용하는 오픈 소스 분산 이벤트 스트리밍 플랫폼입니다. 나 : ???? 뭐라구요? 그들이 특징이라고 써 놓은 핵심 기능들을 살펴본다. 빨간 하이라이트는 내가 이해하지 못한 부분이다. 그냥 다 이해하지 못했다고 보는게 맞다. 하지만 이해한 부분이 하나있다. "풍부한 문서, 온라인 교육, 가이드 튜토리얼, 비디오, 샘플 프로젝트, Stack Overflow에서 배울 수 있다."이 말은 아주 유명한 것이고, 많은 기업들도 관..

5년간 게임 분야 분석 작가로 활동했다. 여기서 또 개발자로 전향? 물론 현재의 나는 스스로 동기부여도 자기계발도 꾸준히 노력하며 꿈을 따라가는 것은 좋다. 하지만 건축에서 게임분석, 분석에서 개발자. 무언가 과거를 갈아타는 모습은 누가 봐도 신뢰도가 낮고, 나 스스로도 과거를 지우려하는 느낌이 든다. 하지만 투자된 시간과 연륜이 아깝다. 5년은 짧은 시간이 아니다. 리스크가 크다. 그럼 내가 20대 초반과 경쟁하는데 어떤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가? 이것은 나의 최대 단점이다. 체력, 전공지식, 그들의 최신 트렌드 흐름에 대한 파악. 내가 다이어트를 결심 할 때 언급했던 것 처럼. 그들과 동등한 체력을 갖기위해 노력하지만 절대적인 세월의 차이가 있다. 그들은 아무것도 안해도 100의 체력이지만 나는 열심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