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mysql
- venv
- synology
- beautifulsoup
- requests
- flask
- PYTHON
- openapi
- NAS
- frontend
- OOP
- pymongo
- java
- CRUD
- backend
- Project
- javascript
- fetch
- github
- portfolio
- body
- flaskframework
- POST
- get
- Crawling
- CSS
- atlas
- mongodb
- Algorithm
- json
- Today
- Total
목록GameInsight (2)
wisePocket

프로젝트를 어제 종료했고, 아쉬운 부분도 많이 남아있다. 전날 밤새 오류와의 싸움때문에 잠을 못자서 오늘 아침부터 회고를 작성하고자 한다. 팀 프로젝트는 종료되었지만, 너무 아쉬운 부분이 많다. 더 하고 싶다. 이대로 보내주기가 싫다. 너무 기간이 짧았다. 하지만 다음 프로젝트에서 이 회고들을 참고하고 더욱 발전된 완성도 높은 프로젝트를 완료하고 싶다. 무조건 그래야 한다. https://youtu.be/Szj9XZU_7gE 우선 내가 맡은 부분은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전체적인 프로젝트의 아이디어 구체화, 서비스 기획 더보기 팀원과 회의를 통해 나온 아이디어로 부터 서비스 레퍼런스 탐색 및 기능 제안 일정 및 기초 컨벤션, 그라운드 룰 지정 및 공지 로드맵 작성은 생략했지만 간략화 시킨 일정에..

팀 프로젝트 3일안에 간단한 서비스 페이지 완성해보기 팀장으로 자처해서 팀원들에게 여러 의견을 주도적으로 받고 본인을 포함한 인적 자원의 가능성을 체크했다. 간단한 회의를 통해 팀원들이 보여준 이해도와 자신감으로 우리 팀은 4명으로 충분히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범위를 정했다. 개발 기간은 3일이지만 사실상 아이디어 창출을 위한 브레인스토밍 반나절, 문서화 2~3시간을 사용했고, 나는 팀장으로써 이전 경험들을 토대로 좀 더 원활한, 안정적인 프로젝트 시작을 위해서 공통 환경 구축, 그라운드 규칙, 개요, 커뮤니케이션 툴, 협업 툴을 체크하고 미숙한 부분이 있으면 핵심적인 부분의 사용법과 간단한, 알기 쉽도록 안내하느라 반나절이 다 지나갔다. 추후 기초적인 발표 준비와 배포 과정까지 생각해야 되서 사실상 ..